본문 바로가기
인프라/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STP(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by 보안의신 2017. 8. 6.
반응형

네트워크장비 '스위치'를 공부하다보면 STP라는 용어가 나옵니다.

STP란? Spanning Tree Protocol 의 약자입니다.


그렇다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무엇일까요?


흔히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스위치와 라우터로 구성하게 됩니다.

우선 라우터를 신경쓰지않고 스위치부분만 보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출발지부터 목적지로 갈수있는 길이 여러개라면

어디로갈지 고민하게되고 생각이 많아지게됩니다.


네트워크장비도 마찬가지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스위치의 경로가 2개 이상이라면

방황을 하게됩니다(Looping)

 

 

하지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한쪽 경로가 문제가 생기면 돌아갈수있도록

2개의 경로를 만드는 실수를 많이 하게됩니다.

 

이런 문제점(Looping)을 방지 하기위해서

STP를 사용하게 됩니다.


1개의 경로만을 사용하다가

문제가 생기면 다른 1개의 경로를 사용하게 하여

장애를 대비하는 것입니다.

 

좀 더 깊게 들어가게 되면

BID, Path cost 를 비교하여

루트브리즈, 루트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선정하게됩니다.


사용하지않는 경로는 '블로킹' 상태가 되고

사용하는 경로는 '포워딩' 상태가 됩니다

 

요즘은 STP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RSTP 등

 여러가지 기술이 나왔다고합니다.

반응형

댓글